본문 바로가기

성명·논평·보도자료/› 보도자료

조례안의 예고기간 관련 지방자치법 개정 의견 제출

조례안의 예고기간 관련 지방자치법 개정 의견 제출.pdf
0.09MB

참여자치연대 "조례안 최단 예고기간 5일은 너무 짧아"

지역 주민들과 시민사회의 조례안 의견 제출할 권리 사실상 제한해

행정절차법과 같이 조례안 예고도 '20일 이상, 의무화' 의견 제출

 

  1. 참여자치지역운동연대는 현행 지방자치법에서 '5일 이상'으로 규정한 조례안 예고기간이 너무 짧아 지역 주민과 시민사회가 조례안에 대한 의견을 제출할 권리를 사실상 제한하고 있다며, 행정절차법의 자치법규 입법예고기간과 같은 '20일 이상'으로 늘려야 한다는 내용을 담은 지방자치법 개정 의견서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위원들에 제출했다.

   2. 현행 지방자치법 제77조에는 조례안의 최단 예고 기간을 5일 이상으로 정하고 있다. 반면, 현행 행정절차법 제43조의         행정상 입법예고기간을 40일 이상, 자치법규는 20일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또 국회법 제82조의2국회 입법예고         에 관한 규칙 제4조에는 법률안 입법예고기간을 일부개정법률안의 경우 10일 이상, 제정법률안 및 전부개정법률안의         경우 15일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과 비교하면, 조례안의 최단 예고기간이 지나치게 짧아 지역 주민과 시민사회가         조례안에 대한 의견을 제출할 권리를 사실상 제한하고 있다.

 

  3. 지방의원이 발의하는 조례안의 경우는 그나마도 '예고할 수 있다'는 권고조항으로 규정되어 있어 지방자치단체의 조례        안을 지방의원을 통해 발의하는 '우회 입법' 사례가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들과 지방의원들이 조례안          에 대해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최소한의 절차인 조례안 예고를 사실상 건너뛰면서 지역 주민들과 시민사회의 감시를          회피 하는 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다.

 

  4. 더구나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 국회의 입법예고기간과 자치법규인 조례안의 예고기간을 달리 해야 할 법적 근거도        찾을 수 없다. 조례의 경우 오히려 지역 주민들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관련 법률 등과의 충돌 여부 등을 더 면           밀히 살펴야 하므로 예고기간을 더 늘릴 필요가 있다.

 

  5. 참여자치연대는 의견서에서 현행 자방자치법의 조례안의 최단 예고기간을 현행 '5일 이상'에서 행정절차법에 규정한          자치법규의 입법예고기간과 같은 '20일 이상'으로 늘리고, 조례안 예고를 반드시 거치도록 의무규정으로 개정해야 한           다고 밝혔다. 끝

 

참여자치지역운동연대

 

대구참여연대 /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 마창진참여자치시민연대 / 부산참여연대 / 성남참여자치시민연대 /
세종참여자치시민연대 / 여수시민협 / 울산시민연대 / 익산참여연대 / 인천평화복지연대 / 제주참여환경연대 /
참여연대 / 참여와 자치를 위한 춘천시민연대 / 참여자치21(광주) /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 /
충남참여자치지역운동연대 /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 /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 (전국 18개 단체)